고린도전서 1장에서는 사도 바울이 고린도 교회 성도들을 향하여 감사하고 있습니다. 하나님께 항상 성도들을 위하여 기도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복음이 고린도 교회 성도들에게 견고하게 세워져 있기 때문입니다.
재림을 기다리는 고린도 교회 성도(고전 1:4-7)
4절 유카리스토 토 데오 무 판토테 페리 휘몬 에피 테 카리티 투 데우 테 도데이세 휘민 엔 크리스토 이에수
성 경: [고전1:4]
주제1: [분열된 교회를 향한 메시지]
주제2: [인사말]
그리스도 예수안에서...은혜를 인하여 - 바울은 다른 편지에서와 마찬가지로 인사말에 이어 수신자들을 위한 감사를 드린다(롬 1:8;빌 1:3-7;골 1:3-8). 혹자는 본서에서의 감사는 바울이 고린도 교인들을 비난한 본서의 내용에 비추어 보면 풍자적인 면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바울은 될 수 있는 대로 격려와 칭찬을 자주 하곤 했다(Morris). 비록 고린도 교인들의 삶에 많은 결함이 나타났을지라도 그들은 다른 고린도 시민들과는 명백한 차이가 있었음이 분명했다(Lightfoot). 따라서 바울은 진정으로 하나님께 감사를 드리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한편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엔 크리스토 예수)라는 말은 바울의 서신에 164회나 나타나며 옥중 서신(獄中書信)에 특히 많고 본서에서도 11회나 쓰였다(2,4절;3:1;4:10,15,17;15:18,19,22,31). 바울이 여기에서 '그리스도 안에서'라는 문구를 사용한 것은 하나님의 은혜가 일반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 예수의 영역 안에서 특정하게 주어진다는 것을 말하기 위함이다.
내가...항상 하나님께 감사하노니 - '항상'에 해당하는 헬라어 '판토테'와 '감사하노니'(유카리스토)는 현재형으로 쓰여 바울의 계속적이고 규칙적인 기도 생활을 시사한다. 바울은 그가 가르쳤던 교회들을 위해 정규적으로 중보의 기도를 드렸다(엡 1:16;빌 1:3). 원문에는 본절의 첫머리에 '하나님께 감사하노니'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는 열거될 수 있는 모든 영적인 축복들이 하나님의 선물이자 그분에게서만 유래되는 것임을 암시해 준다(Grosheide).
5절 호티 엔 판티 에플루티스데테 엔 아우토 엔 판티 로고 카이 파세 그노세이
성 경: [고전1:5]
주제1: [분열된 교회를 향한 메시지]
주제2: [인사말]
너희가...모든 구변과 모든 지식에 풍족하므로 - 고린도 교회에 내려진 하나님 은혜가 각 방면에서 풍족하게 드러났음을 의미한다. 본절에서 '모든...풍족하므로'(판티 에플루티스데테)는 사실상 양보다 질을 말하고 있으며'하나도 빠짐없이 전체'라는 의미라기보다는 '가능성 있는 모든 측면에서'라는 의미가 더 타당하다. 한편 '구변'에 해당하는 헬라어 '로고'는 '교리'혹은 '진리'를 의미한다(Calvin, Hodge). 그리고 '지식'에 해당하는 헬라어 '그노세이'는 영지주의(Gnosticism)에서 언급하는 감추어진 신비한 지식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에 기초한 구체적인 지식을 말한다(Mare). 즉 바울이 말하는 '지식'이란 '내주 그리스도 예수를 아는 지식'(빌 3:8) 곧 그리스도와 그의 십자가의 죽으심이라는 실재 위에 기초한 구체적인 지식을 말하고 있다. 한편 '풍족하므로'에 해당하는 헬라어 '에플루티스데테'는 '플루티조'의 부정과거 수동태로 신약 성경에서는 바울 서신에서만 나타난다(고후 6:10,11). '풍족하다'는 말은 본절에서 개종이나 세례가 풍부하다는 말이 아니라(Mare) 그리스도에 대한 일들을 알고 말하는 일에 있어서 하나님이 풍성히 축복하여 주신 것을 지칭한다. 이 단어가 부정과거 시제로 사용된 것으로 보아 고린도 교인들의 삶 속에 나타난 하나님의 역사가 뚜렷했음을 알 수 있다.
6절 카도스 토 마르튀리온 투 크리스투 에베바이오데 엔 휘민
성 경: [고전1:6]
주제1: [분열된 교회를 향한 메시지]
주제2: [인사말]
그리스도의 증거가...견고케 되어 - '그리스도의 증거'란 바울이 4년 전에 고린도에 머무르면서 전했던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증거를 말한다. 그리고 '견고케 되어'에 해당하는 헬라어 '에베바이오데'는 '베바이오오'의 부정과거 수동태로 앞절의 '풍족하다'와 동일하게 강조되고 있다.
7절 호스테 휘마스 메 휘스테레이스다이 엔 메데니 카리스마티 아페크데코메누스 텐 아포칼륍신 투 퀴리우 헤몬 이에수 크리스투
성 경: [고전1:7]
주제1: [분열된 교회를 향한 메시지]
주제2: [인사말]
너희가 모든 은사에 부족함이 없이 - '은사'라는 말은 신약성경에서 구원(롬 5:15), 일반적인 하나님의 선물(롬 11:29), 성령의 특별한 능력(12:4) 등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여기에서는 전체 문맥을 고려해 볼 때 그리스도의 증거가 고린도 교회에 좋게 받아들여져서 나타난 열매를 의미하는 것 같다. 고린도 교인들에게 믿음, 지식과 같은 내적인 은사뿐 아니라 이적 행함과 병 고침, 방언과 예언 같은 외적인 은사들이 풍성하였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타나심을 기다림이라 - '나타나심'에 해당하는 헬라어 '아포칼립신'은 문자적으로 '뚜껑을 열다', '수건을 벗긴다'라는 의미이다. 이 말은 종말론적인 용어로써 감추었던 사실이 드러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예수 그리스도의 참뜻은 현재에는 비밀에 속한 것인데 종말에는 비로소 완전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한편 '기다림이라'의 헬라어 '아페크데코메누스'는 바울이 주로 사용한 단어로 초대 교회 교인들의 종말론적 삶을 잘 표현해 준다. 본절에서 이 단어는 강하고도 진지하게 기다리며 경성 한다는 의미를 지니며 '간절하게 기다리면서'(eagerly waiting for, NIV)라고 번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그들의 간절한 기대는 주님의 종말(終末)에 관한 말씀(마 24:30,34)에 근거한 것이다. 초대교회의 모든 성도들은 가능하면 그들이 살아 있을 동안에 주님께서 재림하시기를 바랐다(15:51;살전 1:9,10;약 5:8,9;벧전 4:7;요일 2:18;계 22:20).
[로마서 헬라어 성경 주석 강해] 로마 교회에 대한 바울의 방문 목적(롬 1:8-12)
[로마서 헬라어 성경 주석 강해] 로마 교회에 대한 바울의 방문 목적(롬 1:8-12)
로마서 1장에서는 바울이 로마 교회를 방문하려고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바울은 항상 하나님께 감사하고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 복음 안에서 항상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로마 교회
bethlehem123.tistory.com
'신약성경 하나님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헬라어 성경 마가복음 강해] 신발끈을 풀기 감당치 못하겠노라(막 1:6-8) (0) | 2022.04.18 |
---|---|
[마태복음 예수님 족보말씀] 솔로몬에서부터 여고냐까지(마 1:7-11) (0) | 2022.04.18 |
[빌립보서 강해 설교말씀] 감옥에서의 복음에 대한 열정(빌 1:12-19) (0) | 2022.04.13 |
[에베소서 강해 설교말씀] 에베소 교회 성도를 위한 바울의 중보기도(엡 1:15-19) (0) | 2022.04.13 |
[로마서 헬라어 성경 주석 강해] 로마 교회에 대한 바울의 방문 목적(롬 1:8-12) (0) | 2022.04.08 |
[사도행전 헬라어 성경말씀 강해] 예수님의 승천을 목격한 성도들(행 1:6-11) (0) | 2022.04.08 |
[요한복음 헬라어 예수님 말씀] 예수의 증언자 세례 요한(요 1:6-8) (0) | 2022.04.07 |
[누가복음 헬라어 예수님 말씀] 사가랴와 엘리사벳의 환경(눅 1:5-7) (0) | 2022.04.07 |